가계부채 문제 '1400조 돌파! 기준금리 인상 걸림돌'



1400조 돌파 “가계부채 문제”

 

 

 

3월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준수한 경기 지표와 함께 인플레이션 우려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우리나라 역시 기준금리 인상 논의가 활발하다. 자칫 미국과의 기준금리 역전 현상이 나타날 경우 자본시장의 자금 이탈이 가속화될 수 있어서다.

 

 

■ 대출이자 상환 부담 증가

 

기준금리 인상 시그널이 나올 때마다 마음 조리는 이들이 있다. 바로 시중은행의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금융소비자들이다. 대출 금리가 치솟으며 대출자들의 이자상환 부담도 그만큼 커지기 때문이다.

 

앞서 매월 은행연합회가 공시하는 코픽스는 1월 기준 1.73%로 전월 대비 0.03% 올랐다. 이에 시중 KB국민, 신한, 우리, KEB하나, 농협 등의 은행들 역시 잔액기준 코픽스 연동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일제히 상승시키는 모습이다. 코픽스는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기준이 되는 지표로 기준금리 조정으로 시장 금리가 상승하면 함께 오르는 경향을 보인다.

 

 

 

 

 

■ 가파른 가계부채 상승

 

무엇보다 이러한 금리 상승기가 되면 우리나라의 가계부채에는 위험 경보가 켜진다. 실제로 국제결제은행(BIS)과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발표에 따르면 한국, 노르웨이, 스웨덴, 스위스,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홍콩, 태국, 핀란드 등 10개국의 가계부채(주택담보대출, 카드론, 오토론 등)가 위험 영역에 들어섰다.

 

이들 가계부채 위험 국가들은 지난 3년간 평균 가계부채 증가율이 1%를 넘어섰고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65%를 넘는다는 지적이다. 그리고 특히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10%대를 기록하며 1위인 노르웨이(15%)에 이어 가장 높은 상황이다.

 

그만큼 가계부채가 빠르게 늘어났다는 반증인 셈! 한국, 캐나다, 뉴질랜드는 가계부채 증가율과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 미국과 비슷한 수준으로 확인된다. 현재 우리나라의 전체 가계부채는 1400조원 규모로 파악된다.

 

 

한편 가파른 가계부채 증가세는 일반적으로 금융이 잘 발달된 나라에서 나타난다. 정책적으로 신용을 통한 경기 부양이 수월하기 때문이다. 다만 신용을 기반으로 한 경기 부양은 자칫 버블을 불러 올 가능성이 크다.

 

더구나 우리나라의 경우 부동산 신화가 포착되는 국가이다. 자산 정리를 통해 우월한 부채 상환능력을 가지고는 있으나 기준금리 인상으로 유동성 파티가 끝을 드러낼 경우 가계부채 위험성은 물론 경기 전반이 위축될 가능성도 그만큼 커진다는 의미이다.